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글로벌확장
- 외국기업
- 원격근무관리
- #해외진출
- 글로벌급여아웃소싱
- #해외법인설립
- 외투법인
- 해외진출
- globalexpansion
- #현지인 채용
- 글로벌화
- hr아웃소싱
- #해외지사설립
- 외국인투자법인
- 글로벌hr
- 블루백글로벌
- 해외급여
- 급여아웃소싱
- 해외파견
- 해외법인설립
- #해외파견
- 탑소스월드와이드
- Payroll
- 해외지사설립
- 글로벌진출
- 고용주대행
- 기록상고용주
- #eor
- 글로벌시장
- EOR
- Today
- Total
목록글로벌시장 (4)
TSWKR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xMV7/btsHJ9zNVoh/1xrslGCKL0AcADGlbWL3JK/img.jpg)
| 국가명: 라오스(Laos) | 국가 설명 1. 수도: 비엔티안2. 인구: 773만 6,681명 세계102위 (2024 통계청, UN, 대만통계청 기준)3. 면적: 2,368만 ㏊ 세계83위 (2021 국토교통부, FAO 기준)4. 기후: 열대계절풍기후5. 언어: 라오스어6. GDP : 157억 2,438만 달러 세계125위 (2022 한국은행, The World Bank, 대만통계청 기준)7. 화폐단위 : 라오스 킵(LAK, ₭) | 투자진출 형태 : 법인(주식회사, 유한책임회사), 지사, 연락사무소1. 법인라오스 기업법 2편 1절에서는 라오스 내 기업을 투자 주체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하며 기업 형태에 따라 개인사업자, 파트너십, 회사로 구분한 후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9JmJ/btsHy6JYn3f/IGt579eRGfuD2LeToD3kA1/img.jpg)
| 국가명: 몽골(Mongolia) | 국가 설명 1. 수도: 울란바토르2. 인구: 349만 3,629명 세계132위 (2024 통계청, UN, 대만통계청 기준)3. 면적: 1억 5,641만 1,600㏊ 세계18위 (2021 국토교통부, FAO 기준)4. 기후: 대륙성 한랭건조기후5. 언어: 몽골어6. GDP : 168억 1,088만 달러 세계123위 (2022 한국은행, The World Bank, 대만통계청 기준)7. 화폐단위 : 몽골 투그릭(MNT, ₮) | 투자진출 형태 : 법인(주식회사, 유한책임회사), 지사, 연락사무소 ▶ 주식회사유한책임회사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회사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, 이사회를 반드시 두어야 한다. 이사회는 최소 ..
■ 근로계약서근로계약서는 임금, 근로시간 등 핵심 근로조건을 명확히 정해야 하며,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의 권리보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. | 표시사항근로계약서에는 임금, 근로시간, 휴일, 연차, 근로 장소, 업무, 휴가, 퇴직금 등의 내용을 명시해야 한다. 표준근로계약서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다. | 수습확정적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한 후에 작업능력이나 적응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근로형태를 의미한다. 수습 근로자에게도 「근로기준법」이 적용되므로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해고가 가능하다. ※ 관련규정 :「최저임금법」제5조 제②항, 동법 시행령 제3조 ■ 비정규직 | 기간제 근로자명칭에 관계없이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2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간제 근로자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nObv/btsHyCPX4LX/CvKixThuzabMqLB1T7CoX0/img.jpg)
대한민국의 조세제도는 과세권의 주체에 따라 국세와 지방세로 구분되며, 국세의 경우 소득에 대하여 부과되는 법인세 및 소득세 등의 내국세가 있으며, 수입물품에 부과되는 관세가 있다. 또한 지방자치단체에서 부과하는 지방세에는 취득세, 등록면허세, 재산세 등이 있다. 아울러 외국인투자기업은 외국투자가 등 특수 관계인과의 국제거래 관련 이전가격세제와 차입금에 대한 과소자본세제 등의 처리에 대하여 유의하여야 한다. | 외국인투자와 관련된 주요세금의 종류 | 법인세법인세란 법인의 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부과하는 조세로 기업에 부과하는 소득세라 할 수 있다.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을 포함하여 사·재단법인 등도 일반 법인과 같이 과세한다. ◎ 납세의무자와 과세소득내국법인 및 국내원천소득이 있는 외국법인은 법인세 납세..